008 누에콩
누에콩
보통 누에콩이라고 부르는 비키아 파바는 잠두라고도 불리운다.흔히 먹는 콩 가운데 가장 크며, 신세계의 발견 이전까지 유럽에 알려진 유일한 콩이다. 가장 이른 시기에 재배된 식물 가운데 하나다 그리고 누에콩은 서아시아 또는 중앙아시아에서 기인한 것이 분명하다. BC 3000년 무력의 것으로 추정되는 지중해 지역 유적에서 비교적 큰 재배 형태의 콩이 발견되었다. 크기가 여러 가지 인데, 가장 큰 것은 지중해 지역에서 AD 500년 무렵에 개발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이 세계 최대의 생산국이다.
누에콩은 이례적으로 두껍고 질긴 씨껍질을 가지고 있는데, 초록색의 풋콩이든 딱딱한 말린 콩이든 고기 맛이 나는 태반엽에서 이껍질을 제거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알칼리성 물에 넣고 데치면 씨껍질이 물러지면서 헐렁해진다.
이집트에서는 다 자란 콩을 무를 떄까지 삶은 다음 소금, 레몬주스, 기름, 마늘 따위로 풍미한 '풀 메다메스'라는 인기 있는 요리로 만든다. 다 자란 누에콩을 싹을 틔운 다음 끓여서 수프로 만들기도 한다.
단뱍질과 수용성 섬유질의 주원료인 잠두콩은 포화 지방이 없으므로 다이어트에도 매우 효과적이며, 무엇보다 맛도 좋다.
<누에콩 중독>
선천적으로 특정 효소가 결핍된 사람이 누에콩을 먹으면 누에콩 중독이라는 심각한 질병에 걸릴 수 있다. 대부분의 희생자는 남부 지중해 지역 및 중동 지역에 살고 있거나 그 부모가 그 지역 출신 어린이들이다. 이들이 누에콩이나 누에콩 꽃가루 속에 들어 있는 두 가지 특이한 아미노산 친척들 (비신과 콘비신)과 접촉하면 인체가 이화학물질을 적혈구 세포를 손상하는 형태로 대사하여 때로는 목숨을 앗아 갈 수 도 있는 치명적인 빈혈증을 야기한다. 한편 이효소의 결핍은 적혈구 속의 말라리아 기생충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말라리아가 통제되기 이전까지는 유리한 유전형질이었을 수도 있다.
댓글
댓글 쓰기